![]() |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 - ![]() 최무영 지음/책갈피 |
물리학 입문서를 찾는 이라면, 누구라도 공감하겠지만, 도대체가 읽을 수 있는 책이 없다. 어려운 단어에 딱딱한 수식으로 일관하는 전공 서적만 보인다. 그나마 그것도 몇 권 없다. 자신이 하는 말을 이해하고 있는 걸까. 자기 혼잣말을 하고 있다. '이 정도는 알잖아.' 그렇게 짐작하고 넘어가질 않나. 말 그대로 읽을 수가 없다. 과학 지식이 없다면 접근 금지 경고문이라도 붙이고 싶은 걸까.
지은이 최무영은 과학적 사고의 중요성으로 시작한다. 왜 물리학을 비롯한 과학에 관심을 갖고 이해해야 하는지부터 설명한다. 동양이 서양보다 기술에서는 앞섰지만, 화약은 중국의 발명품, 과학적 사고는 서양이 발달했다. 기술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은 과학적 사고지, 기술이 아니다. 반성적 사고로 기존 상식에 도전하는 정신이 동양은 부족했다. 과학은 단순한 '과학 기술'이 아니라 세상을 이해하는 '과학적 생각'이다.
글쓴이가 읽는 이를 배려했다. 한문이나 외래어를 이해가 쉬운 순 우리말로 바꿔 썼다. 가끔은 생소할 수 있으니 가로 안에 기존 용어를 같이 썼다. 책 끝에 더 읽을거리를 덧붙였다. 색인(찾아보기)가 있어, 관심 사항을 찾기도 쉽다.
내가 이 책에 감동한 것은 지식을 열정적으로 말하는 최무영의 말투다. 과학 사랑이 담긴 목소리가 마음에 들었다. 지식 자체보다 그 지식을 말하는 태도가 중요하다. 그 태도는 지혜에 가까운 애정이다.
아, 그럼에도, 역시 물리학은 여전히 어렵다. 원래 어렵나 보다. 과학 기초 공부가 안 되어 있어서, 관련 수식과 이론을 따라잡을 수는 없었다.
[밑줄 긋기]
과학적 사고의 첫째 요소는 기존 지식에 대해서 '의식적으로 반성'하는 겁니다. 무거운 것이 가벼운 것보다 먼저 떨어진다는 진술이 기존 지식인데, 갈릴레이가 이를 다시 성찰한 것이지요. 39쪽
[참고]
이 책은 인터넷에서 무료로 읽을 수 있다. 본래 인터넷 신문 프레시안(http://www.pressian.com/) 연재물이다. 어찌된 일인지, 책보다 웹이 더 읽기 편하다. 컴퓨터 화면으로 글 읽고 쓰는 게 익숙해진 모양이다.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은 이미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이승우 / 마음산책 - 소설 쓰기의 시작은 소설 읽기 (4) | 2014.09.26 |
---|---|
신민식 독서노트 2014.09.23 - 트렌트 마지막 사건(에드먼드 클레리휴 벤틀리); 탐정소설을 말하다(P.D. 제임스) (0) | 2014.09.23 |
[취업의 정답] 하정필 / 지형 - 자기 분석 후에 스펙을 쌓아라 (0) | 2014.09.20 |
[잭 런던의 조선사람 엿보기] 잭 런던 / 한울 : 사회주의 작가의 눈에 비친 조선 (0) | 2014.09.20 |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레프 톨스토이 / 더클래식 - 사랑, 그 소박한 진리 (0) | 2014.09.02 |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 최무영 / 책갈피 - 읽을 수 있는, 물리학 입문서 (1) | 2014.08.30 |
[리추얼] 메이슨 커리 책읽는 수요일 - 재미와 의미 (0) | 2014.06.26 |
[심플 아트 오브 머더] 레이먼드 챈들러 / 북스피어 - 탐정소설가의 솔직한 고백 (0) | 2014.05.29 |
[붉은 머리 가문의 비극; 빨강머리 레드메인즈] 이든 필포츠 엘릭시르; 동서문화사 - 좋은 문장 낡은 트릭 (1) | 2014.05.22 |
[위대한 탐정 소설] 윌러드 헌팅턴 라이트 북스피어 - 탐정소설의 역사와 작품들 (2) | 2014.05.15 |
[만화로 독파하는 죄와 벌] 버라이어티 아트워크스 신원문화사 - 축약본의 결정판 (0) | 2014.04.27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